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청년이 찾아오는 고성군, 파격적 지원정책이 선행되어야!

기사승인 2023.04.28  07:45:51

공유
default_news_ad1

 

   
▲ 허동원 도의원

최근 몇 년간 ‘인구소멸’이란 단어가 전국적으로 많이 회자되고 있고, 우리 고성군 역시 경남도의 소멸우려지역 8곳 중 4번째로(0.586)꼽히고 있다. 

인구소멸지수는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으로 만들어지는데, 청년들의 새로운 유입 없이는 인구소멸을 멈출 수 없다는 것을 잘 드러내 준다.
 
이를 다르게 말하면, 고성군이 지속적으로 존립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청년을 유입할 수 있는 정책, 청년이 일할 수 있는 직장, 그리고 청년이 정착하고 자녀를 낳아 양육할 수 있는 양질의 정주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고성군이 정책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난 2021년 경남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도내 대졸 청년이 지역에 취업 및 정착하려는 의지는 높지만, 좋은 일자리 부족으로 청년 순유출이 증가하고 있다고 조사되었다. 
 
하지만 일자리를 찾아 지역을 떠난 청년 3명 중 1명은 비정규직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며, 정규직도 대기업 임금의 2/3수준인 중소기업 비중이 약 65%에 달한다고 한다. 
 
필자는 고향인 경남에 양질의 일자리와 주거가 제공된다면 충분히 수도권에서 고향으로 귀향할 수 있을 것이고, 이들의 새로운 유입은 고성군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게 될 것이라 생각하며 다음 두 가지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파격적인 청년 주거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 경남은 ‘청년주택 임차보증금 제도’를, 고성군은 ‘청년 월세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청년들이 결혼하고 자녀를 양육할 수 있는 환경으로서는 한계가 있다. 
 
필자는 고성군이 전남 화순군의 청년‧신혼부부 20평형 1만원 아파트 지원 사업처럼 과감하고 파격적인 청년 주거지원 정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 사업을 거류면 당동에 수년째 건설되다 멈춰버린 아파트를 활용해 추진한다면 보다 적은 예산으로 많은 청년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게 될 것이고, 지역 주거환경개선에도 이바지할 수 있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하동군(0.522), 합천군(0.561), 산청군(0.582), 고성군(0.586), 남해군(0.606), 밀양시(0.608), 함양군(0.703), 통영시(0.716)
 
둘째, 양질의 신규 일자리 마련이 필요하다.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는 농업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청년들이 고성을 찾아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청년이 종사하고 싶은 양질의 일자리가 마련되어야 한다. 
 
필자는 고성군 내 양질의 일자리 확충을 위해 지난 3월 경남도의회 도정질문을 통해 경남도에서 추진 중인 방산부품연구원 유치 전략의 일환으로 방산드론부품 연구개발을 포함하고 연구개발 및 실증지역으로 고성의 무인기종합타운 활용을 통해 유치 경쟁력 확보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성장성이 크고 부가가치가 높은 양질의 일자리를 지역 청년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필자는 청년이 찾아오기 위해서는 고성군의 파격적이고 선제적인 정책적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앞으로 고성군의 한자인 ‘固城’(고성 : 튼튼하게 쌓은 성)의 의미처럼 청년들이 굳게 설수 있는 버팀목이 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이 마련된다면, 고성청년들의 희망찬 ‘高聲’(고성: 크고 높은 목소리)이 지역에 울리게 될 것이라 기대하고 소망한다.
 

고성미래신문 gofnews@naver.com

<저작권자 © 고성미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